Programming/Python

[Python] 파이썬 튜플(Tuple)에 대해서 알아보자

빙기때침식곡 2021. 5. 8. 19:34
반응형

이미지 출처 www.python.org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 자료구조에 사용되는 튜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Tuple

 

(1) 선언

 - 소괄호 ()를 이용해서 선언할 수 있다.

 - 튜플안에 튜플을 선언할 수 있다.

a = ()
b = (1,)
c = (1, 2, 3, 4)
d = (10, 100, ('a', 'b', 'c'))

print(c[2])
print(c[3])
print(d[2][1])

Result

3
4
b

 

 

 

 

 

(2) 슬라이싱

d = (10, 100, ('a', 'b', 'c'))

print(d[2:])
print(d[2][0:2])

Result

(('a', 'b', 'c'),)
('a', 'b')

 

 

 

 

 

(3) 연산

 - 더하기(+) 연산은 튜플을 이어 붙힌다.

 - 곱하기(*) 연산은 곱한만큼 튜플을 이어 붙힌다.

c = (1, 2, 3, 4)
d = (10, 100, ('a', 'b', 'c'))

print(c + d)
print(c * 3)
print(d * 3)

Result

(1, 2, 3, 4, 10, 100, ('a', 'b', 'c'))
(1, 2, 3, 4, 1, 2, 3, 4, 1, 2, 3, 4)
(10, 100, ('a', 'b', 'c'), 10, 100, ('a', 'b', 'c'), 10, 100, ('a', 'b', 'c'))

 

 

 

 

 

(4) 튜플 함수

 - in 키워드를 이용해 해당 값이 존재하는지 반환(True/False)한다.

 - index(value) : 입력한 값의 인덱스를 반환한다. 

 - count(value) :  입력한 값의 개수를 반환한다.

z = (5, 2, 1, 3, 4)

print(z)
print(3 in z)
print(z.index(5)) # 찾고자하는 값의 인덱스를 나타냄
print(z.count(1)) # 찾고자하는 값의 개수를 나타냄

Result

(5, 2, 1, 3, 4)
True
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