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출력함수 prin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다.
print함수의 모든 부분을 정리했다기 보단 실제로 많이 쓰이는 부분을 정리하겠다.
(1) 기본 출력
-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작은따옴표(''), 큰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
- 작은따옴표 1개, 큰따옴표 1개, 작은따옴표 3개, 큰따옴표 3개로 나타낼 수 있다.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출력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2) Separator 옵션 사용
- 콤마(,)를 통해 구분된 문자열 사이를 sep= 를 사용해서 중간을 채운다.
print('A', 'S', 'M', 'R', sep='')
print('2021', '05', '04', sep='-')
print('goodBoy', 'google.com', sep='@')
출력
ASMR
2021-05-04
goodBoy@google.com
(3) End 옵션 사용
- 뒤에 이어질 출력에 대해서 end의 값으로 이어 붙힌다.
print('Welcom To', end=' ')
print('the hotel', end=' ')
print('Califonia')
출력
Welcom To the hotel Califonia
(4) Format 사용
- 문자열을 입력하고 .format으로 보다 안전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고, 보다 명확하게 숫자 또는 문자로 나타낼 수 있다.
print('{} and {}'.format('You', 'I'))
print("{0} and {1} and {0}".format('You', 'I'))
print("{a} are {b}".format(a='You', b='I'))
출력
You and I
You and I and You
You are I
(5) % 사용
- %s : 문자, %d : 정수, %f : 실수
print("%s's favorite number is %d" % ('Ronaldo', 7))
print("Test1: %5d, Price: %4.2f" % (776, 6543.123))
print("Test1: {0: 5d}, Price: {1: 4.2f}".format(776, 6547.123))
print("Test1: {a: 5d}, Price: {b: 4.2f}".format(a=776, b=6543.23))
출력
Ronaldo's favorite number is 7
Test1: 776, Price: 6543.12
Test1: 776, Price: 6547.12
Test1: 776, Price: 6543.23
(6) Escape 사용
- 많이 쓰이는 코드를 보자면
- \n : 개행
- \t : 탭
- \' : 문자
- \" : 문자
print("'Coding'")
print('\'Coding\'')
print('"Coding"')
print("""'Coding'""")
print('\\Coding\\\n')
print('\t\tCoding')
출력
'Coding'
'Coding'
"Coding"
'Coding'
\Coding\
Coding
반응형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집합(set)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5.10 |
---|---|
[Python] 파이썬 튜플(Tuple)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5.08 |
[Python] 파이썬 리스트(List)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5.08 |
[Python] 파이썬 문자열(String)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5.08 |
[Python] 주피터 노트북 사용 방법 (1) 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일 생성, 단축키)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