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EX와 Escape 방식이 있다.
binary 문자열은 프로그래머가 원시 데이터로 생각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합하다.
문자열은 텍스트를 저장하는데 적합하다.
1. Bytes Hex Format
- 대문자/소문자 둘다 가능
- 숫자 사이게 공백 허용
- 16진 형식은 광범위한 외부 응용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과 호환되며 Escape 형식보다 변환속도가 빠르다.
- ex) SELECT '\xDEADBEEF';
2. Bytes Escape Format
- The "escape" format is the traditional PostgreSQL format for the bytea type.
- 응용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바이트를 문자로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면 표현이 편리할 수 있다.
- this format should probably be avoided for most new applications.
- 가능하면 쓰지말자... HEX 타입을 쓰자.
SET bytea_output 커맨드로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디폴트는 HEX다.
예시1. HEX 타입
SET bytea_output = ‘hex’;
SELECT ‘abc \153\154\155 \052\251\124’::bytea;
bytea
—------------------
abc klm *\251T
예시2. Escape 타입
SET bytea_output = ‘escape’;
SELECT ‘abc \153\154\155 \052\251\124’::bytea;
bytea
—---------------
\x616263206b6c6d202aa954
REFERENCES
PostgreSQL : Documentation: 13: PostgreSQL 13.7 Documentation
postgrespro.com
반응형
'DB >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PostgreSQL의 통화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Monetary Types) (0) | 2022.06.17 |
---|---|
[PostgreSQL] PostgreSQL의 Enum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6.17 |
[PostgreSQL] PostgreSQL의 boolean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6.17 |
[PostgreSQL] PostgreSQL의 문자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Character Types) (0) | 2022.06.14 |
[PostgreSQL] PostgreSQL의 숫자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