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In-Memory DB(인메모리 디비)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1) 정의
- 데이터 스토리지의 메인 메모리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이다.
- 데이터 양의 빠른 증가로 데이터베이스 응답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다.
- 전형적인 디스크 방식은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쿼리를 수행하지만, 인 메모리 방식은 메모리상에 색인을 넣어 필요한 모든 정보를 메모리상의 색인을 통해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사용하면 느린 이유?
- 외부 저장 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읽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를 곧바로 사용할 수 없다. 데이터를 읽어서 메모리에 올리고, 메모리에 올라간 데이터를 읽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곧바로 메모리에서 읽어내는 인메모리 방식보다는 느리다.
(2) 특징
① 장점
- 검색 속도가 빠르다.
- 디스크 기반 DBMS 제품보다 100~1000배가 가량 빠르다고한다.
② 단점
- RAM의 휘발성이다.
- DB서버가 갑자기 꺼지면 안에 데이터가 손실된다.
-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공간이 한정되어있다.
③ 대안
- 지속성(Durablility)를 보장하기 위해 메모리에 INSERT/UPDATE/DELETE 된 값들을 모두 디스크에 로그로 기록하며, DBMS가 재구동될 때 디스크로부터 로그 파일을 읽어와 메모리에 DBMS 구조를 재구축하기도 한다.
- 비휘발성 RAM 기술의 도입으로 인메모리 디비는 전력 손실에도 완전한 속도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3) 사용되는 분야
- 일반적으로 서버가 꺼져서 날아가도 상관 없는 임시 데이터(ex. 로그인 세션)에 주로 쓰인다.
- 테스트 DB가 필요하다면 인메모리 디비가 좋은 선택일 수 있다.
References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In-memory Database)는 데이터 스토리지의 메인 메모리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
ko.wikipedia.org
in-memory DB는 왜 더 빠를까
in-memory DB는 disk-based DB와 달리 말 그대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외부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고 쓴다. 메모리 디스크 간 병목이 없기 때문에 disk-base
2kindsofcs.tistory.com
데이터 기술 동향 < 정보마당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인메모리 대전(大戰) 서막 올랐다 SAP-오라클, 인메모리 시장 두고 패권을 다투다알티베이스, 선재소프트, 삼분지계 노린다 인메모리 DBMS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DBMS 시장의 강자‘오
www.kdata.or.kr
'컴퓨터 이론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쿼리최적화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10.14 |
---|---|
[Database] Transaction과 ACID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10.12 |